보안 위협

다크웹(Dark Web)

포스팅 뷰8

1. 다크웹의 개요

1.1 다크웹의 정의

다크웹(Dark Web)은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나 검색엔진(Google, Naver 등)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비공개 네트워크 영역이다. 이곳은 익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구조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TOR(The Onion Router) 브라우저 같은 특수 도구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인터넷 공간인 서피스 웹(Surface Web)과 기업 내부망인 딥웹(Deep Web)과 구분되며, 불법 콘텐츠, 거래, 해킹 포럼 등이 주로 존재한다.

1.2 서피스 웹, 딥웹, 다크웹의 비교

구분

설명

접근 가능 여부

서피스 웹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구글, 네이버 등 검색 가능한 웹

누구나 가능

딥웹

검색되지 않지만 정당한 접근 권한이 필요한 정보 (예: 은행 내부망, 사설 DB)

제한적 접근

다크웹

TOR 등으로만 접근 가능한 익명성 기반 웹 공간

특수 브라우저 필요


2. 다크웹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2.1 합법적 목적의 이용 사례도 존재

  • 정치적 검열을 피하려는 기자 및 시민
  • 정보 제공 및 표현의 자유 추구 목적의 커뮤니티

2.2 그러나 대부분은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

  • 개인정보 판매: 이메일,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 정보 등
  • 불법 거래: 마약, 총기, 위조 여권, 해킹 툴 등
  •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용 데이터 유통
  • 랜섬웨어 그룹의 피해자 협박 페이지 운영
  • 불법 스트리밍, 도박, 포르노 콘텐츠 유통


3. 실제 다크웹 사례

3.1 실크로드(Silk Road)

2011년 TOR 네트워크를 통해 개설되어 마약, 총기, 위조 서류 등의 거래가 이뤄졌다. 미국 FBI에 의해 2013년 폐쇄되었고, 운영자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3.2 랜섬웨어와 다크웹의 결합

DarkSide, REvil, LockBit 같은 랜섬웨어 조직들은 데이터를 탈취한 뒤 다크웹에 피해자 정보를 공개하며 금전을 요구한다. 지불하지 않으면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에 유출한다.

2021년에는 국내 한 병원의 환자 정보가 다크웹에 공개된 사례도 있었다.

3.3 국내 사례

  • 2023년: 한국 고등학생 수만 명의 개인정보가 다크웹에 유출되어 경찰청과 방통위가 긴급 대응
  • 2022년: 국내 기업 계정 정보 수천 건이 다크웹에 유포된 것을 KISA가 탐지
  • 그리고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이다.


4. 다크웹 접근 방법과 위험성

4.1 접근 방식

일반 브라우저로는 접속이 불가능하며, TOR 브라우저 설치 후 onion 주소(URL)를 입력하여 접근해야 한다. onion 주소는 암호화된 도메인으로 검색 엔진에 노출되지 않는다.

4.2 일반인이 함부로 접근하면 안 되는 이유

  • 악성코드 감염 위험
  •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 실수로 불법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음
  • 사법기관의 감시 대상이 될 수 있음


5. 다크웹으로 인한 정보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방법

5.1 사용자 측 대응 수칙

  • 비밀번호 재사용 금지
  • 2단계 인증(MFA) 활성화
  • 유출 여부 확인 후 즉시 비밀번호 변경
  • 신뢰되지 않은 링크 클릭 금지

5.2 기업 보안 전략

  • 다크웹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 유출 계정 자동 로그아웃 또는 비밀번호 변경 요구
  • 이상 로그인 탐지 시스템 운영
  • 사내 보안 정책 및 교육 강화

오늘도 수많은 개인정보, 기업정보가 다크웹에 유통되고 있으며, 내 정보가 떠돌고 있을 수도 있다. 비밀번호 보안, 다중 보안, 이상 로그인 탐지 등 기본적인 보안 습관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