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MS-P 간편인증 신청 방법
포스팅 뷰84
ISMS-P 간편인증 신청 방법
ISMS-P 간편인증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을 보다 신속하고 간소화된 절차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주로 소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인증 비용과 심사 부담을 줄여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ISMS-P 간편인증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ISMS-P 간편인증 신청 절차
1. 신청 접수
ISMS-P 간편인증은 ISMS-P 대표 홈페이지(isms-p.kisa.or.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여 필요한 서류를 구비한 후 접수를 진행해야 합니다.
2. 제출 서류
ISMS-P 간편인증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필수 서류와 추가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필수 제출 서류
-
인증 신청 공문: 기업의 공식적인 인증 신청을 알리는 문서
-
사업자등록증: 신청 기업의 법적 등록 정보 확인용
-
인증 신청서: ISMS-P 간편인증 신청을 위한 공식 양식
-
관리체계 명세서: 기업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개요 및 운영 현황
-
운영명세서: 기업이 운영하는 주요 시스템 및 네트워크 현황
추가 제출 서류 (해당되는 기업만 제출)
-
중소기업 확인서: 중소기업임을 증명하는 서류
-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증빙 자료 (손익계산서, PG사 매출 자료 등)
-
주요 정보통신설비 미보유 증빙 자료 (호스팅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서, 자산 내역 등)
📌 중요사항: 신청서 작성 시 “ㅇㅇ서비스 운영(정보통신망법 제47조의7에 따른 인증의 특례)” 문구를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ISMS-P 간편인증 수수료
ISMS-P 간편인증은 기존 인증 수수료의 5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ISMS 기준 간편인증 수수료: 약 400~500만 원
- 기존 수수료: 800~1,400만 원
- 감면 사유: 심사 인력 및 기간 감소 등의 요소 반영
📌 유의사항:
- 간편인증을 신청하면 기존의 인증 수수료 할인 항목과 중복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예: 소기업 할인, 정보보호 공시, 일부 심사 생략 등)
- 사후심사 수수료는 최초/갱신 심사 수수료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ISMS-P 간편인증 제출 서류 상세 안내
1. ISMS-P 간편인증 신청서
ISMS-P 간편인증을 신청할 때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공식 문서입니다.
신청 기업의 정보 및 인증 신청 범위를 명확하게 기술해야 합니다.
📌 신청서 주요 항목
- 신청 기업 정보 (회사명, 사업자번호, 대표자명, 담당자 정보)
- 인증 신청 대상 서비스 및 범위
- 관리체계 운영 현황
- 개인정보 처리 현황 (ISMS-P 신청 시)
2. ISMS-P 간편인증 매출액 확인서
ISMS-P 간편인증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기업의 매출액 기준 충족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 제출해야 합니다.
📌 제출 가능한 매출액 증빙 서류
- 손익계산서
- PG사 매출 자료
- 세금계산서 내역
기업은 인증 기준에 따라 매출액 검증을 반드시 받아야 하며, 정확한 자료 제출이 필수적입니다.
ISMS-P 간편인증 신청 시 유의사항
- 기존 ISMS-P 인증을 받은 기업은 간편인증 신청 대상이 아님
- 간편인증은 최초 인증을 받는 기업을 대상으로 함.
- 주요 정보통신설비 미보유 기업은 추가 증빙 제출 필요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이용 기업은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서 제출 필수.
- 신청 후 심사 기간 고려
- 간편인증은 일반 심사보다 기간이 짧지만, 심사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신청 전 홈페이지에서 최신 제출 서류 양식 확인 필수
- 양식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함.
ISMS-P 간편인증 신청을 위해서는 필요한 서류를 사전에 준비하고, 정확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신청 과정에서 필수 문구를 포함하고, 감면 혜택과 유의사항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잊지 마시고 ISMS-P 간편인증 시 적극 활용해주시기를 바랍니다.😉🙌